10분만에 훑어보는 경제학 독서(초급편)
게시글 주소: https://hpi.orbi.kr/00069380628
<얻어갈 개념어들>
변증법적 유물론, 경직적 임금과 가격, 새로운 신고전파 종합
긍정적 외부효과, 대학 임금 프리미엄, 신호 이론
수명 격차(longevity gap), 임종 돌봄(end-of-life care), 사전 의료 지시서(advance directives)
한계 세율 구간, 유효 세율, 죄악세
마셜 플랜, 해외송금(remittances)
안녕하세요 독서칼럼에 진심인 타르코프스키입니다.
오늘은 경제학의 역사 등 초급 내용을 기반으로 지문을 제작해 보았습니다.
이제 서론 읽을 시간도 없습니다.
핸드폰 켠 김에, 경제학 주제를 분석한 아래 지문을 읽어보세요.
(좋아요 누르고 시험운 받아가세요!)
출처: https://thecrashcourse.com/topic/economics/
참조 및 재구성.
(연습문제 1)
|
(연습문제 2)
교육은 사회에서 긍정적 외부효과(positive externality)로 작용하며, 이는 교육을 직접 받는 개인뿐만 아니라 교육 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사회 구성원들에게도 혜택을 제공한다. 긍정적 외부효과란 개인의 행위가 제3자에게 이익을 주지만, 이러한 외부 혜택이 시장 거래에 반영되지 않아 순수한 사적 관점에서는 투자가 부족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정부는 생산성 향상, 혁신 촉진, 생활 수준 개선을 통해 전반적인 사회 복지를 증진시키고자 막대한 자원을 보편적 공교육에 할당한다. 그러나 상당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교육 시스템은 지속적인 불평등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특히 저소득 가정 학생들이 부유한 또래에 비해 낮은 시험 점수와 높은 중도 탈락률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경제학자들은 소외계층 학생들에게 추가 자원을 제공하는 목표 지향적 자금 지원 확대와 같은 다양한 전략을 제안한다. 일부는 운영의 유연성이 큰 공립 자율학교인 차터 스쿨(charter school)의 도입과 학부모에게 학교 선택권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바우처 프로그램(voucher program) 등 시장 기반 접근법을 옹호한다. 또한 교사들의 교육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성과 기반 보상을 통해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학생 성취도 향상 방법으로 제시된다. 고등 교육과 관련하여, 대학 학위 취득에 따른 상당한 비용과 잠재적 부채가 미래의 재정적 이익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의문이 제기된다. 실증 데이터에 따르면 대학 졸업자는 고등학교 졸업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현저히 높은 소득을 얻으며, 이는 "대학 임금 프리미엄(college wage premium)"이라 불리는 현상이다. 대학 임금 프리미엄은 대학 학위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추가로 얻는 소득을 수치화하여 고등 교육 자격의 경제적 가치를 반영한다. 더욱이 대학 졸업자의 실업률은 지속적으로 낮아 더 나은 직업 안정성과 취업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임금 격차를 설명하는 두 가지 주요 경제 이론으로 인적 자본 이론(Human Capital theory)과 신호 이론(Signaling theory)이 있다. 인적 자본 이론은 고등 교육이 가치 있는 기술, 지식, 역량을 제공하여 개인의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소득 잠재력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반면 신호 이론은 대학 학위가 교육 과정에서 습득한 특정 기술보다는 지능, 인내심, 기대 부합성 등 졸업자의 내재된 능력을 고용주에게 신호로 전달한다고 제안한다. 실증 연구는 실제 교육 내용과 무관하게 학위 취득 자체가 소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어, 자격증으로서의 졸업장 중요성을 강조하며 두 이론 모두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대학 교육의 명백한 재정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증가하는 비용은 총 부채가 1조 달러를 초과하는 학생 부채 위기를 초래했다. 이러한 상황에는 재정 지원이 적어 학생들이 더 많은 부채를 지게 되는 높은 학비의 영리 대학 등록 증가, 학비가 더 높고 학생들이 더 많이 차입하는 대학원 프로그램 참여 증가 등이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대학의 운영 비용은 호화로운 시설, 최첨단 기숙사 및 레크리에이션 센터와 같은 학생 편의 시설, 그리고 고액 연봉의 행정직원 수 증가로 인해 상승했다. 명목상의 등록금("스티커 가격")은 크게 올랐지만, 장학금, 보조금 등의 재정 지원으로 많은 학생들의 실제 비용은 더 낮게 유지되었으나, 이러한 경감이 모든 학생의 재정적 부담을 완전히 상쇄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고등 교육 추구 결정은 기관의 비용, 학위 프로그램의 투자 수익률, 학위 취득 가능성 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하며, 졸업 실패 시 상당한 부채를 지면서도 그에 상응하는 소득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다.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학 학위 취득은 많은 이에게 여전히 현명한 투자로, 더 높은 평생 소득, 향상된 취업 전망, 더 큰 경제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개인적 이익을 넘어 교육은 빈곤과 소득 불평등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인에게 성공 도구와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은 경제적 이동성, 사회적 결속, 사회의 전반적 발전에 기여한다. 따라서 교육 자금, 접근성, 정책 개혁에 관한 논의는 더 공평하고 번영하는 미래 형성에 필수적이며, 교육이 개인적 선이자 공공선으로서 지니는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3)
|
(연습문제 4)
세금(taxation)은 고대로부터 사회의 핵심 요소로서, 정부가 필수적인 서비스와 기반 시설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게 해왔다. 본질적으로 조세는 정부 지출을 위한 수입을 창출하고, 사회 복지를 증진하며, 경제 안정과 성장을 목표로 하는 재정 정책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방, 공공 안전, 교육과 같은 공공재(public goods)—시장 기제만으로는 제공되기 어려운 서비스—에 자금을 조달함으로써, 세금은 문명 사회의 근간을 이룬다. 더욱이, 조세는 누진 과세 체계(progressive taxation system), 보조금(subsidies),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고소득층에서 저소득층으로 자원을 이전하여 부의 재분배 역할을 한다. 미국의 소득세 제도로 대표되는 누진세는 소득이 높을수록 더 높은 세율을 부과하여, 정책 입안자들이 공정하다고 판단하는 방식으로 세부담을 분배한다. 이 체계는 한계 세율 구간(marginal tax brackets)을 활용하여 특정 소득 범위에 따라 점진적으로 높은 세율을 적용함으로써, 추가 소득 획득이 납세자에게 부당한 불이익을 주지 않도록 한다—이는 세율 구간에 대한 오해로 인해 종종 잘못 이해되는 개념이다. 누진세 체계에서는 개인의 유효 세율(effective tax rate)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공제(deductions), 면제(exemptions), 세액 공제(credits)가 존재하여, 실제 세부담을 한계 세율이 시사하는 것보다 덜하게 만든다. 따라서 이러한 메커니즘은 은퇴 저축이나 교육 투자와 같은 특정 경제 활동을 장려하며, 납세자에 대한 세율 구간의 실제 영향은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것보다 덜 가혹하다. 반면, 필수품에 대한 판매세나 균일한 수수료와 같은 역진세(regressive taxes)는 저소득층의 소득에서 비례적으로 더 큰 부분을 차지하여 이들의 재정 능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비례세(proportional taxes) 또는 단일세율(flat tax)은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납세자에게 동일한 세율을 적용하는데, 이는 공정성과 단순성 측면에서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세제의 누진적 요소를 제거하여 전체 세부담을 저소득 및 중산층에게 전가할 수 있다. 단일세율 제안은 그 단순성으로 인해 매력적일 수 있으나, 현행 세제에 내재된 자선 기부나 주택 소유와 같은 사회적으로 유익한 활동을 장려하는 인센티브를 의도치 않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센티브의 제거는 공공 정책적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경제 행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세금은 직접세(direct taxes)와 간접세(indirect taxes)로 분류된다: 직접세는 소득세나 재산세와 같이 개인이나 조직이 정부에 직접 납부하는 세금이며, 간접세는 판매세나 부가가치세(Value Added Tax, VAT)와 같이 중개자가 징수하지만 궁극적으로 소비자가 부담하는 세금으로, 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에 포함된다. 간접세는 공급과 수요의 역학에 영향을 미쳐 시장 가격을 왜곡하고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 세금은 또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담배와 알코올에 대한 죄악세(sin taxes)는 유해 상품의 소비를 줄이려는 목적을 가지며, 탄소세(carbon taxes)는 온실가스 배출에 비용을 부과하여 환경 지속가능성을 촉진한다. 과도한 운전을 억제하기 위한 휘발유세와 여러 국가에서 시행 중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한 탄소 가격 책정 메커니즘이 이에 해당한다. 더욱이, 부실하게 설계된 조세 정책은 미국 독립 혁명과 인도의 소금 행진과 같은 역사적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억압적인 과세로 인한 광범위한 반발과 독립 요구로 이어지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개인과 집단은 부당하다고 여겨지는 세금을 회피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때로는 시민 불복종이나 반란까지 일으켜 조세 정책이 사회 안정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을 강조하였다. 많은 이들이 세금 납부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금은 시장 메커니즘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사회적 혜택과 보호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세금은 집단적 복지를 향상시키고, 불평등을 완화하며, 시장 실패(market failures)를 해결하는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현대 경제에서 그 중요성을 입증한다. 따라서 공정성, 효율성, 사회 복지를 증진하는 잘 설계된 조세 체계를 위해 세금의 다면적 역할과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경제 정책과 사회 발전에 관한 정보에 입각한 논의를 위해 필수적이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5)
해외 원조(foreign aid)는 국가 간 또는 국제기구가 다른 국가의 국민을 지원하고자 금전, 물자, 서비스를 이전하는 행위로, 전 세계적 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2014년, 선진국들은 총 1,350억 달러 이상의 원조를 제공했으며, 미국은 약 330억 달러를 기여했다. 이는 외국 원조가 미국 연방예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통념과 달리, 실제로는 약 1%에 불과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국민총소득(GNI) 대비 더 높은 비율의 원조를 할당하는 스웨덴과 같은 국가들은 더욱 관대한 기여자로 평가받는다. 해외 원조의 다면적 목표에는 평화와 안보 증진, 민주주의와 인권 신장, 경제 성장 촉진, 보건 및 교육 체계 개선, 인도주의적 지원, 환경 보호 등이 포함된다. 현대 국제 원조의 시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시작되었으며,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연합(United Nations),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과 같은 중요 기관의 설립으로 특징지어진다. 대표적 사례로 마셜 플랜(Marshall Plan)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미국이 전쟁으로 피폐해진 유럽 경제를 재건하기 위해 130억 달러(현재 가치로 1,300억 달러 이상)를 제공하여 생산을 복구하고 무역을 확대하며 공산주의 확산을 저지하였다. 냉전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 양국이 해외 원조를 동맹 확보와 영향력 행사를 위한 지정학적 도구로 빈번히 활용하였다. 냉전 종식 후, 해외 원조의 초점은 인도주의적 목적과 경제 개발로 이동하였으며,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빈곤 퇴치와 HIV/AIDS 같은 질병 퇴치를 위해 1960년 60억 달러에서 2011년 460억 달러로 원조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원조 분배는 종종 공여국의 지정학적 이해관계에 영향을 받아, 가장 빈곤한 국가들보다는 과거 식민지나 전략적 동맹국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경제학자들은 해외 원조의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촉진 효과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데, 일부는 수원국의 부패 심화나 의존성 창출을 우려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기니벌레병(Guinea Worm disease)의 근절과 말라리아 및 HIV/AIDS 발병률의 현저한 감소 등 공중 보건 분야의 성과를 강조한다. 또한, 이주노동자와 이민자들이 본국으로 보내는 송금(remittances)은 개발도상국으로의 자금 흐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2013년 전 세계적으로 5,420억 달러에 달했으며, 그 중 4,040억 달러가 개발도상국으로 향해 공식 해외 원조의 3배를 상회하였다. 송금은 빈곤 감소, 보건 및 교육 투자 증대, 기술 접근성 향상, 아동 노동 감소와 연관되지만, 경제적 의존도를 높이고 국내 성장 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송금 비용이 평균 8.4%로 상대적으로 높아, 이주자들의 재정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이러한 수수료를 낮추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불어 비정부기구(NGOs)와 정부간 기구들도 해외 원조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으나, 관리 미숙이나 투명성 결여로 그 효과가 제한될 수 있어, 개인들이 자신의 기부금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자선단체를 철저히 조사하고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뭔가 나만의 zone에 들어온 느낌? 시공간을 초월해서 나만의 무ㅏㄴ 느낌임 쨋든 그럼
-
현역때 이미 대학을 갔을텐데
-
감독관이 시험 중간에 본인확인인지 하고 도장 찍는 거요 그게 매 교시 omr 잘...
-
ㅇㅇ
-
친일친미 vs 친중친북 둘 중 하나지
-
수능 세번쳤으니까 괜찮지않을까?
-
올해 전 시즌 70만원으로 학원에서 결제했는데 원래 가격이 이럼? 간쓸개만 하면...
-
나가기싫어
-
올해가 2주 넘게 갔구나
-
현실에는 별로 없는데,, 신기하네
-
예비고3 어려운 3점부터 잘 못 푸는 상태입니다 2~3등급 목표로 개념 설명 좀...
-
사실 저… 7
하와이안 피자 좋아함..
-
나같은 삼수생은 없는건가
-
다시 감 2
새벼게옴
-
아 빌리빈뉴 0
아빌리빈뉴ㅓㄹ마인ㄷ 벌써 1녀니 지낟찌만
-
ㅇ.
-
코이난테요부니와 3
케가레스기시맛타네
-
한량대 발기조원 2
제발요
-
26장이네 ㅁㅌㅊ?
-
1년안에 9
전과목 노베에서 서울대 가능한가요
-
사람들이 절 기피함...
-
형은 4년 공부히고 수능 수힉 3 받았다 갸삭기들아 형깉은병신도있다는걸알아두고절대나처럼은되지마라
-
아무것도 안하고 그냥 혼자있으려니까 더더욱 머리가 안비워짐 + 읽고 싶은 책이...
-
노베들이 공부계획 세울 때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 10
개념+쎈->기출->뉴런->드릴 이런 식으로 차례대로 갈 수 있을거란 착각임 팩트는...
-
수능 서논술형 도입도 충분히 가능은 할듯
-
놀랍게도 당시 물리는 잘못이 없었음...
-
8장밖에 안돼네….. 2학년때는 22장 만들어야겠음!!!!!
-
요즘에는 고기 한두개만 있어도 이름 붙임?
-
젤 의미없는 질문
-
안녕하세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여유로운 주말입니다. 주말에는 문장 단위별 독해...
-
머 먹디 5
호레엥 배가 너무 우ㅏ파 머리도ㅠㅈㄴ게 아파
-
광안리에서 저녁 뭐먹지 11
추천ㄱㄱ
-
고1 10모때 6등급 떴고 사실상 중학 국어 이후로 특성화라서 국어 공부 비중이...
-
양심이있나?
-
둘 중 누굴 더 선호하나요? 잘 몰라서 그러는데 두분 강의 스타일도 알 수 있을까요?
-
서강대야 제발
-
너네 몇살이냐 10
어휴 유치한 넘들
-
분탕질한게엊그제같은데이젠쟤네랑경쟁해야할날이몇년안남았다는게너무충격
-
이거진짜에요? 6
ㅇㄱㅈㅉㅇㅇ?
-
민주, 여론조사 대응 기구 설치…"제도 개선 고민" 2
[서울=뉴시스]신재현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20일 당내 기구 등을 설립해 여론조사...
-
아니 ㅅㅂ 무슨 4
원래 샐러드 포장할거 실수로 매장으로 눌러서 죄송하다고 사과했는데 알바가 ㅈㄴ...
-
라는 나쁜말은 ㄴㄴ
-
ㅠㅡㅠ
-
조발 안하면 3
죄다 2월초에 발표인가 너무 늦는데
-
힘들게 한 사람 강냉이를
-
2028학년도 새 수능 통합사회·과학 각 25문항 40분씩 치른다 16
제2외국어·한문, 20문항 30분으로 축소…총시험시간 20분 늘어 사회·과학 배점...
-
[ 2025 지인선 N제(S1) 9회 15번 ] ㄹㅇ 씽크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