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도플러 효과 관련 스킬 소개2
게시글 주소: https://hpi.orbi.kr/00068097495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가르치는 강사 안성진입니다.
지난 글(https://orbi.kr/00068097094) 에 소개한 스킬을 이용해 더 많은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1) 2024 수능 19번
Q1. 기준 파장 λ0의 값은?
A.행성의 공전 궤도로 중심별의 파장 변화 양상 파악하기
(1) 중심별의 공전 방향 구하기
행성이 A위치에 있을 때, 중심별은 시선 속도 크기가 최댓값을 나타내는 위치에 있으므로, 적색 편이 최대 혹은
청색 편이 최대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중심별의 파장이 비교적 짧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니,
청색 편이 최대를 나타내고 있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 중심별과 행성은 시계 방향으로 공전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중심별의 파장 변화 양상 파악하기
지난 글에서 해보았던 것 처럼, 일단 시선 방향에 수직하게 스펙트럼 축을 그려줍니다.
행성의 공전 궤도가 그려져 있는 상황이므로, 시선 속도의 부호가 중심별로 판단할 때와는 반대임에 유의합시다.
행성의 위치에 따른 중심별의 스펙트럼 위치가 바로 파악되었습니다. 문제의 조건에 따르면,
행성이 A에 있을 때 중심별 흡수선의 관측 파장이 499.990, B에 있을 때 500.005 이므로, 이를 써줍시다.
그리고,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을 1로 잡고, 위 그림 기준 A,B,C의 y 좌표 값 크기의 비를 비교합시다.
그리고 그 비는 아래와 같이 파장 변화 크기의 비와 같습니다.
그렇다면, 고유파장은 499.990과 500.005를 2:1로 내분하는 지점임을 직관적으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고유파장은 500입니다.
Q2. ㉠의 값은 499.995보다 작은가?
A. 위 그림을 그렸다면, 답이 그냥 나옵니다.
그린 그림에서, 499.995의 위치를 표현하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499.995는 500과 499.990의 딱 가운데에 해당하므로, 행성이 C에 위치할 때의 파장은 그보다는 짧음을
바로 그림을 통해 판단이 가능합니다. 이 스킬의 좋은 점 중 하나입니다. 문제에 그려진 그림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2) 2019 9월 모평 18번
Q1. (가)에서 지구로부터 중심별까지의 거리는 T2일 때가 T3일 때보다 가까운가?
A. 시선 속도 그래프를 이용해 중심별 공전 궤도 연상하기
위에서 보았던 애니메이션을 상기합시다.
그리고, (가) 그림 옆에 중심별의 공전궤도를 그려봅시다. 숙달되면 머리에서 연상하실 수도 있을겁니다.
일단, 시선 속도 축과 수직하게 시선 방향을 설정합니다. 왼쪽을 향할지, 오른쪽을 향할지는 상관없습니다.
상황에 맞춰서 공전 방향을 설정해주면 되거든요. 저는 오른쪽을 향하게 그려보겠습니다.
얼추 시선 속도의 변화폭과 맞추어 공전 궤도를 그립니다.
그리고, 위쪽 궤도를 돌 때 시선 속도가 (+)여야 하므로, 공전 방향은 시계 방향으로 그려주면 되겠네요.
시선 속도 값에 맞춰서 중심별의 y축 좌표(위 그림 기준) 값을 설정해주면 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아래와 같이 됩니다.
조금만 연습하시면 머리에서도 쉽게 그려집니다. 그럼 T2일 때가 T3일 때보다 가깝네요.
(3) 2024 EBS 파이널 실전 모의고사
Q1. 식현상은 (나)~(다) 기간에 나타나는가?
A. 흡수선의 파장 변화 통해 중심별 공전 궤도 연상하기
문제 조건에 따라 해당 자료는 중심별이 공통 질량 중심을 원궤도로 '1회 공전'하는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관측한 것입니다.
그런데, 스펙트럼이 총 4개가 제시되었고, (라)는 (가)와 동일한 위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는 중심별이 공전 궤도를 120도 공전할 때마다 한번씩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중심별이 관측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부터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라면, 아래와 같은 스타일의 스펙트럼이 관측되어야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다는건, 뭔가 애매한 위치에서부터 관측을 시작했다는 의미겠죠?
자료를 통해 파악해봅시다.
일단 스펙트럼 축과 수직하게 시선 방향을 설정합니다. 위쪽을 향하든 아래쪽을 향하든 상관없으나,
위쪽을 향하게 해보겠습니다. 그럼 오른쪽이 파장이 길어지는 방향이므로, 중심별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게끔 설정해줘야합니다.
그리고, 흡수선의 위치에 알맞게 중심별이 120도 간격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그려져야 함을
조금 생각하면 알 수 있습니다.
(가)와 (나) 같이 스펙트럼 파장이 같은 경우에는, 공전 방향을 잘 관찰하여 선후 관계를 결정해야함에 유의하세요.
그럼, 식현상은 중심별이 관찰자와 가장 멀어질 무렵에 발생함을 고려할 때, 식현상이 나타나는 구간은 (나)~(다)가 아니라, (다)~(가) 입니다.
Q2. 흡수선의 원래 파장은 [λ-(Δλ/3)]nm 인가?
A. 일단 고유 파장의 위치를 찾아야합니다.
문제에 그려진 λ는 고유 파장을 의미하지 않음에 유의하세요.
스킬을 적용해보면, 고유파장은 위 그림의 ㉠과 ㉡ 사이를 1:2로 내분하는 지점에 위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유 파장은 ㉠으로부터 (2Δλ/3) 만큼 긴 위치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구요.
이를 문제의 'λ' 를 사용하여 표현해보면,
λ로부터 [Δλ-(2Δλ/3)] 만큼 짧은 위치에서 나타나는거니까, [λ-(Δλ/3)] 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고유 파장은 [λ-(Δλ/3)]nm 입니다.
Q3. (가) 이후 관측 시간 간격을 1/2로 줄이면 관측되는 파장의 최솟값은 [λ-(5Δλ/3)]nm 인가?
A. 관측 시간 간격을 1/2로 줄이면, 중심별이 60도를 돌 때마다 한번씩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나타날겁니다.
위 그림의 X 위치에서 최솟값이 나타날 것임을 바로 파악할 수 있지요.
그럼, 고유 파장인 [λ-(Δλ/3)] 으로부터, 2x(2Δλ/3) 만큼 짧은 위치에서 파장이 나타날 것이므로,
[λ-(5Δλ/3)]nm 입니다.
이상 최대한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풀어보며 스킬의 유용성을 살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출 푼다 0
ㅇㅇ
-
뭐가다른거에요?
-
진짜 아무것도 안해서 좀 걱정되는데 님들은 뭐하고 지냄?
-
곧 진행될 LCK CUP 그룹전 제 23경기 T1 vs GEN.G에서 T1이 1)...
-
공부하면서 절망의 절정에 다다를때 대가리 깨질때가 옴 그때를 이겨내고 공부하면...
-
농어촌 최저x 학종 삼룡의 vs 정시일반 서울대 문과 중간과 7
전자가 지방사람이고 수능성적이 내신보다 안나와서 저 전형 ㅁ썻고 후자는 농아촌 아닌...
-
기구하다 1
기구하다
-
난 다함항수 정복하기 만든적없는데
-
오아시스 내란도 신기한데 쟤네도 오는 건가
-
반수해서 의대 가려고 하는데 뭐해야 함? 04고 25수능 언매 미적 화1 생1...
-
그냥 수험생 한번 더 한다 생각하고 메가패스 살려고요 ㅋㅋ 얘기해주시는것들...
-
나만 뻘글마냥 그런 뻘얘기하나….. 연락내역만 보면 인간같지않음
-
보넥도 입덕함 1
후...
-
국어는 고정100 수준인데 단어를 몰라서 이러는건가
-
세계사 화1 2
.
-
크럭스 서대원 컨설턴트님은 메디컬쪽 보시는 컨설턴트분이신가요?? 2
아시는분??
-
몸살 넘 싫다 3
으..
-
그냥 담요단 하나 잡아다가 표랑 채점형만 벅벅 풀어 주고 싶음 이게 제일 마음이 편해
-
다 배신자의 싹이다
-
다음 칼럼은 지구과학 2 과목이 어떤 느낌인지 간결하면서도 얕지 않게 직접 기출을...
-
즛토마요 신곡 6
이걸 이제야 들었네
-
옴뇸뇸
-
1주일만 1
현생살고온다 ㅂㅂ
-
얼버기 기상 8
안냐세요
-
점유소유, 헤겔, 브레턴, 에이어 더 있을텐데 기억이 안난다 + 할매턴도 별 5개
-
남중 남고 루트 말고 있을 수가 있나
-
ㅈㄴ걍 애매한게 많음 수능에 안나와~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고 설명하기가 어렵더라구요
-
아니시발 티젠전 2
고삼인데 lck 도 끊어야겟지
-
개념 vs 심화 문제 풀이 전자보단 후자가 수요가 있겠죠? 받아보신분들이나...
-
생글은 들으면서 뭔가 얻어가는느낌 들어도 에필로그는 진짜 그냥 풀면서 되게 쉬운...
-
칼럼 주제 정리할 겸 많은 분들의 의견이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2025 2월 최신...
-
분명 수험생커뮤인데 공부얘기 많은게 이상함
-
쌈무나보고가라 2
-
그래도 과외는 얼마를 줘도 자신이 하나도 없음 (수능은 만점) 사탐 과목은 관련...
-
사문 일주일 공부하고 모의고사 10번 치면 40점대는 빈번하게 나올듯 근데 결국...
-
중앙대 약대 교과 2025 입결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합격자 계시다면 중앙대식...
-
열등감 덩어리라 슬프네
-
예를 들어서 담화표지를 사용하여 문단간의 연결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게 선지면...
-
Official HIGE DANdism- Parabola(포물선)
-
돌돌물 0
돌고 돌아 물리로
-
치돈 시켰는디 1
개맛있어어
-
국수영탐 과목별로 어느정도 되어야 과외할 수 있을까요 6
그래도 암묵적인 컷이 존재하는 법이니까요 고2~고3 기준으로 했을때요
-
아…
-
이거 클까요
-
내가 수능장에서 진짜로 말아먹은거라면? 사실은 1등급 나올 실력이 맞다면? 어쩌면...
-
탐구가 성적 제일낮았음
-
그릭요거트 2
아무것도 안뿌렸는데 맛있네 이거먹으면서 다이어트할까
-
6모에 N수 얼마나침? 9모에 얼마나침? 수능엔 얼마나침? 이거 알아야 탐구 사탐런 예상이돨거같은데
-
옯붕이 부산왔다.jpg 23
캬캬
좋은 글 항상 감사합니다!
늙고병들어서문제를gif로풀고싶어요
ebs저 문제 풀면서 경악했었는데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