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1) 개념관리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hpi.orbi.kr/00038983835
헬로 :D
이 칼럼은 다음과 같이 네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A. 지방 vs 지방산
B. 모노글리세리드
C. 생1에서 지방산 말고 또다른 산
D. 개념관리 꿀팁
이번 칼럼은 모든 개념에 대해 알려주는 칼럼은 아니다 - A.B.C.는 그냥 혹시나 해서 언급하는 거다.
그러나 내가 하고 싶은 말은 D.에 있다.
우선 쭉 읽어보자.
A.
지방과 지방산은 엄연히 다르다.
우선, 생1에서의 ‘지방’은 특정적으로 ‘중성지방’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더 읽기 전에, (중성)지방은 어떻게 생겼는지 머릿속에 그려봐라.
지방산도 한번 머릿속에 그려봐라.
안 된다면 이번 칼럼 열심히 읽자.
(미리보기 방지)
이제 그림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위 그림에서 시각적으로 알 수 있듯,
지방은 한 분자의 글리세롤과 세 분자의 지방산이 결합된 화합물이다.
그래서 글리세롤은 뭐다?
3개 탄소로 구성된 사슬에 3개의 -OH기들이 결합된 분자.
지방산은 뭐다?
긴 탄소 사슬에 카복실기가 결합된 분자.
그리고 생각을 조금만 더 해보면 글리세롤과 지방산이 결합하여 중성지방을 형성할 때,
3개의 물(H2O)분자도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번쯤은 직접 그림 비교하면서 생각해봐라)
또한,
많은 학생들이 지방산에서의 “산”이 정확히 뭘 지칭하고 왜 그렇게 지칭하는지를 모르더라.
이번에 정확히 알고 가자:
지방산에서의 “산”은 카복실기(-COOH 부분)를 지칭한다.
그 이유는 바로 카복실기의 H 원자가 산(acid)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나중에 혹시라도 유기화학을 공부하게 된다면,
카복실기가 애초에 왜 산으로 작용하는지의 이유를 배우게 될 것이다.
(카복실기의 수소(H)원자가 카복실기의 O-C-O 결합의 공명으로 인하여 산소(O)원자와의 결합력이 약해 분자로부터 잘 떨어지는 습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1러로서는
‘카복실기 = -COOH 부분 = 산으로 작용’
만 알고 있으면 된다.
어찌 됐든 이제부터라도 지방산이 왜 지방“산”으로 부르는지를 알았으면 됐다.
B.
생1을 어느 정도 공부했더라면, A.를 읽으면서
‘지방은 소화계에서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분해된다.’
는 사실이 생각났을 것이다. (안 났으면 공부 덜 된거다)
이때, 모노글리세리드가 정확히 어떻게 생겼는지 머릿속에 바로바로 떠오르지를 체크해보자.
(미리보기 방지)
그림은 다음과 같다:
그래서
'모노글리세리드 한 분자 = 지방(중성지방) 한 분자에서 지방산 두 분자가 떨어진 것'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당연히 수능날에는 위처럼 그림같은거는 주지도 않을 뿐더러,
표에 빈칸 뚫고 "㉠은 모노글리세리드이다."와 같이 간단하게 나온다.
수능날에 '우앵~? 모노글리세리드가 뭐였더라?'되지는 말자.
바로바로 구조가 생각나야 되고, '지방산 두 개 더 붙이면 중성지방이 됐었지', '중성지방은 어디서 분해됐더라? 소화계에서.'등등도 생각나야 한다.
참고로 모노글리세리드라는 이름만으로도 분자의 구조를 추측할 수 있다.
“모노-(mono-)”는 "하나"를 뜻한다.
그래서 모노글리세리드는 글리세롤에 하나의 지방산만 달려있는 분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때 글리세롤과 지방산이 각각 뭐였는지 바로바로 생각이 안 나면 안 된다.
오늘부터라도 바로바로 생각나게끔 하자.
어찌 됐든 이제부터라도
‘지방은 소화계에서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분해된다.’
를 읽을 때 그림이 팍팍 연상됐으면 좋겠다.
C.
생1에서 카복실기를 갖고 있다는 이유로 이름에 “산”이 포함된 분자가 하나 또 있다.
뭐일까?
(미리보기 방지)
바로 단백질의 기본단위인 아미노산이다.
그렇다면,
아미노산의 구조식이 어떻게 생겼더라?
(미리보기 방지)
구조식을 보니 지방산과 마찬가지로 아미노산에도 분자 내에 카복실기(-COOH)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가 아마노산의 "산"에 반영된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당연히 아미노산의 “아미노”는 왼쪽의 아미노기를 지칭한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D.
이번 생1칼럼은 바빠서 여기까지만 하겠으나,
앞서 (미리보기 방지)들을 한 이유는 다들 알 것이다.
본인 스스로 생각을 못해내면 본인은 그거 모르는 거다.
아까 중성지방과 지방산을 머릿속에 그려보라고 했을 때 못 그렸다면,
그대는 중성지방과 지방산에 대해서 모르는 거라고 해도 무방하다.
글리세롤도 마찬가지.
'아 저게 글리세롤이었어? 우앵~ 몰랐넹'.
혹시나 몰랐다면 지금은 괜찮다. (물론 생1에서 글리세롤에 대해서는 묻진 않는다.)
그러나 수능날에도 다른 부분에서 '우앵~? 이거 뭐였더라'하면서 몇초 낭비하거나 뇌절오게끔 하고 싶진 않을 거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개념공부하면서 단순히 글(글자)만 읽지 말고,
앞으로는 글(글자)을 읽을 때 명확한 이미지나 논리가 머릿속에 스스로 떠오르는지 확인하면서 읽자.
스스로 객관적으로 끊임없이 질문을 하면서 바로바로 안 떠오르는 게 생기면,
그날 바로바로 찾아서 해결해라.
네이버에서 검색해보고, 구글에서도 검색해보고, 유튜브에서도 검색해봐라.
애초에 검색을 할 생각조차 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많더라.
개념은 스스로 정확하게 생각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하고 이미지화시키자.
지금 8월인데 아무리 개념 많이 돌렸더라도 수능 전날까지 까먹고 또 까먹는 게 개념이다.
학기초에 "개념은 한 번만 보고 그 이후부터는 킬러에 집중해야되는 거 아니에요?"라고 질문한 학생이 있었는데 이제는 그 학생이 느꼈길 바란다.
이왕 계속 봐야하는거 효율적으로 외우는 방법을 고안해내자.
미리미리 이미지화 훈련을 해라. 그래야 킬러문제 풀 시간을 갉아먹지 않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지방의 정확한 구조나 명칭에 산이 쓰인 이유 등등과 같이,
개념공부를 할 때 현재 공부하고 있는 책이나 인강만으로는 충분히 알아낼 수 없는 것들이 있을 것이다.
본인은 이럴 때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다시 정리하자면,
1 모르는 개념이 보이는 즉시 따로 메모를 해두거나 기억해두고, 시간 날 때마다
2. 그것에 대한 뜻,정의를 책/네이버/구글/유튜브에서 찾아본다.
3. 그것에 대한 시각적 자료를 책/네이버/구글/유튜브에서 찾아본다.
4. 개념,정의,시각적 자료를 한 곳(이면지나 공책)에 모은다.
5. 한 곳에 모은 거로 이미지화 작업을 한다.
이거 1.2.3.4.5.레퍼토리 습관 잘만 들여도 수험생활 후반부로 갈수록 공부효율이 매우 높아진다.
방금 언급한 1.2.3.4.5.레퍼토리는 수능수험생때였을 때는 물론이며, 대학 와서는 더더욱 도움이 되더라.
지금 생각해보면 개념작업은 하나하나 정확히 정의를 알아내고 잘 안 까먹도록 (또는 오랜만에 봐도 금방 기억이 되살아나도록) 이미지화시키는 작업인 것 같다.
또다른 예를 들자면,
글리세린 / 글리세롤 / 글리코젠 / 글루코스 / 글루카곤
위 네가지가 머릿속에서 바로바로 이미지를 떠올려 구분을 할 수 있을때까지
2. 책에 있는 내용을 먼저 찾아본다. 찾기 어렵거나 귀찮으면 인터넷에서 찾는다.
3. 시각적 자료를 인터넷에서 찾는다.
4. 한 곳에 모은다.
5. 반복적으로 이름 먼저 생각해보고 그림을 떠올려 보고, 반대로 그림을 먼저 보고나서 이름을 떠올려 봐라.
(사실 위 '글(리/루)' 예시의 경우 다섯 중 둘은 같은 대상을 지칭한다)
1.2.3.4.5.레퍼토리는 근데 사실 할 때 되게 귀찮을 수도 있다.
그러나 미리 고생한 만큼 (솔직히 개념 한 분야 당 1시간 내로 끝난다) 나중에는 내 자산이 되더라.
오늘도 열공하길 바라는데 건강이 우선이다.
꼭 정자세로 방석 깔고 앉고, 물도 자주 많이 마시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도 초콜릿 0
받고싶다
-
만약 내 네버 아뒤가 123이면, 네버아뒤로 오르비가입하면 123인거 남들이 볼수있음???
-
있을 때 존재감이 커서 그렇지..
-
https://orbi.kr/00071927077/%EC%84%A0%EC%B0%A9%...
-
나도옯창이니 5
-
나도 옯창아님 7
틀렸다고 생각하면 좋아요를 누르세요.
-
옯창 2
1.0 강해린 08은 옯창인가?
-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25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준)제53대 학생회 ‘S_Way입니다.힘들고...
-
.
-
만약 보인다면 날 때려도 좋아 아흥❤️
-
난 옯창 3
하루 순오르비시간 20시간
-
밑에 사람들이 넘사벽이어서...그냥 정상인으로 살래
-
의대합격후 반수예정이면 다들 o.t와 입학식 참여하시나요. 아니면 늦게 입소하나요.
-
나는 옯창아님 11
ㅇㅇ 맞아요! 아닌 것 같아요!!
-
서울대 2배수 안에 들었는데 1차 떨어질수도 있나요? 앞 등수 사람 설대 점공 보니...
-
학칙상 국립대가 아니면 1학년 1학기 신입생은 휴학이 안되는 학교들 많을텐데…?
-
나는 옯창임? 8
아니오.
-
와구리.....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가기 어렵나요? :)
-
걍 시간 날때마다 들어와서 뻘글 싸지르는건가 ?? 걍 점심 저녁 먹을때만 심심해서...
-
의료사태 보면서 옳은 길은 필수과 소송 리스크해소+김윤 공식인증 원가의 70%라던...
-
ㅈㄱㄴ 원래 다이어트 할 때 맘스터치에서 싸이버거 단품에다가 빵 절반만 먹었는데...
-
부엉이바위로가자 1
우흥
-
집 없어서 버정에서 잠
-
이번 서바 92 음...나쁘지 않은데 하고 수업 드가면 반평균 93 이렇게 찍혀있음
-
한양의 친구야 11
너 좆됐어 ㅋㅋㅋㅋ
-
마우스 딸깍딸깍 소리 생각보다 개크더라 노트북으로 아카라이브 했음 민폐 ㅈㅅ
-
진상 민원인 하나 잘못걸리면 죽어라 괴롭히는데 그걸 견디다보면 조직 내에서...
-
여대가도되냐?
-
여대생활 재밌을거같음
-
USAID가 알카에다 테러리스트의 대학 등록금을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4
https://www.foxnews.com/politics/usaid-reported...
-
나도여대가고싶으니까.
-
이모티콘을 엄청 좋아한다 띄어쓰기 대신 이모티콘을 쓰는거같은••
-
미안했어 내가 뜻을 이해 못해서 맛있게 먹고 끝났다
-
그냥 다 쳐자던데 진짜 공부 죽어도 하기 싫은 3456 등급 견인해 가는 시스템이지...
-
공대 화공 동일과기준 건대화공(재수해서 논술로 입학) vs 건대화공에서 중대화공으로...
-
삼반수 친구들 고학번(+본과) 또는 군대라 거의 못 만남 여기에 1년 더 쉬면 진짜...
-
얼굴로는기만하지마라진짜긁힌다.
-
ㅇㅇ 논술로 가기도 쉽잖아
-
또 나만 없어 나만 진짜 였지
-
손 너무 부자연스러운데
-
감당가능함?
-
추억까진아니고 알바하다가 손님한테 페레로로쉐받앗다 난 왜 학창시절 추억없냐.
-
현재 의료정책이 개노답인건 알겠고 왜 윗학번들이 다 휴학했는지도 알겠다 의사가 하고...
-
초콜릿 1
으로서 현 메타가 뿌듯함..
-
정법 커리좀요 0
이번에 정법 처음이고 최여름 1단원 듣고 있는데 묘하게 안 맞는 느낌이라서(유기적인...
-
다들떠나는구나 0
그래솔직히입시끝나면떠나는게맞지 그래도슬프다노
.
와 ㅎㅎ 님 개오랜만이에요 진짜
써주셨던 "이과 정시로라면~" 이런 글들 진짜 잘 읽었어요
하하감사합니다:) 도움되셨길 바라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아주 유익한 칼럼이었어요전 모노글리세리드 구조식을 오늘 처음 보네요… 감사합니다